PostgreSQL pg_hba.conf 파일 의미 요약
postgresql 서버 설치하고 나면 반드시 건드리게 되는 설정 파일 중 하나가 pg_hba.conf 이다. 이름도 요상해서 봐도 무슨 의미인지 모를 수 있는데 알고보면 그리 복잡한 내용은 … 더 읽기
postgresql 서버 설치하고 나면 반드시 건드리게 되는 설정 파일 중 하나가 pg_hba.conf 이다. 이름도 요상해서 봐도 무슨 의미인지 모를 수 있는데 알고보면 그리 복잡한 내용은 … 더 읽기
리눅스에서 데몬 서비스를 관리할 때 systemctl을 사용하는데 mariadb, mysql, postgresql 같은 dbms나 firewall, cron 같은 기본 서비스도 systemctl을 통해 관리하게 된다. 이런 서비스들은 systemctl 로 … 더 읽기
리눅스에서 postgres를 처음 쓰면 왜 데이터베이스와 관계 없이 postgres라는 리눅스 사용자가 생성되는지도 모르겠고 사용자 생성했는데 또 뭔 접속할 때 데이터베이스명까지 정해줘야 되고 아주 짜증이 난다. … 더 읽기
리눅스에서 ls 명령어를 사용했을 때 디렉터리에 너무 많은 파일이 존재하면 스크롤이 쭈르륵 올라가는 게 불편하기도 하고 무엇보다 원하는 파일을 찾기가 힘들다. 로그 파일이 많이 쌓이는 … 더 읽기
윈도우에서 자바 소스를 컴파일 할 때 파일 경로를 역슬레시(\)로 넣으면 인식을 못한다. 문자열에 \를 포함시키면 컴파일 할 때 escape character ~ 어쩌고 하면서 에러가 날텐데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