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bash 프롬프트 설정 형식

리눅스 프롬프트

리눅스를 쓰면 가장 많이 보는 게 프롬프트 맨 앞에 표시된 [root@localhost ~] 같은 형식이다. 쓰다보면 대충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게되긴 하지만 좀 더 정확히 알고 넘어가보자.

통신 안 될 때 tracert 보는법

naver.com tracert 결과

통신이 안 될 때 CMD에서 tracert 명령어를 사용하면 어떤 지점에서 문제가 생기는지 유추할 수 있다. tracert는 TCP/IP 통신은 아니고 ICMP 패킷을 보내고 돌려받는 테스트라 100% … 더 읽기

자바 Jar 파일 소스 보는 방법

jd-gui jar 디컴파일

jar 파일에는 자바로 컴파일한 class 파일들이 묶여 있다. 간혹 jar 안에 있는 실제 소스를 봐야하거나 패키지 구조 확인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무거운 이클립스 … 더 읽기

IP 주소 127.0.0.1 사용 이유

hosts 파일의 localhost 매핑

127.0.0.1과 localhost는 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 테스트 용도로 사용하는 주소다. 이 주소로 url 요청을 하면 패킷이 자기 자신 컴퓨터한테 돌아온다. 그래서 루프백(loopback) 주소라고 부른다. 이 주소를 … 더 읽기

HeidiSQL 외부 접속 허용 방법

heidisql로 사용자를 추가하고 있다.

HeidiSQL은 보통 리눅스에 설치된 MySQL 또는 MariaDB 서버를 윈도우에서 원격으로 연결할 때 많이 사용한다. 원격으로 연결한다는 개념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로컬과 원격 개념 분간을 못하면 HeidiSQL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