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ifconfig 출력 결과 보는 방법

ifconfig image

리눅스에서 ifconfig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을 확인하는 명령어다. 가장 흔하게는 장비의 ip 주소를 확인하기 위해 쓰는데 출력 결과가 길어서 처음엔 뭐가 뭘 의미하는지 헷갈릴 수 있다. … 더 읽기

ping 8.8.8.8 사용하는 3가지 이유

ping 8.8.8.8 image

8.8.8.8은 구글의 DNS 서버 주소인데 네트워크 테스트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1. 인터넷 통신 확인 구글의 DNS 서버(8.8.8.8)로 ping을 날리면 ICMP 요청 패킷이 전달되고 구글 … 더 읽기

네트워크 통신 과정 간단 요약

네트워크 통신 이미지

네트워크 통신 과정은 자세히 보기 시작하면 아주 복잡해 질 수 있지만 간단하게 보면 그럭저럭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이 글에선 OSI 7계층이나 TCP/IP 스텍 같은 개념은 … 더 읽기

IP가 같은 대역에 있다는 것의 의미

서브넷 마스크 예시

규모가 제법 큰 고객사에 가면 여러 개의 사설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럼 192.168.1.xxx 같은 대역으로 구성된 장치 IP 보이고 10.11.xx.xx 같은 대역도 보인다. … 더 읽기

SSL 인증서가 맞나 TLS 인증서가 맞나?

SSL VS TLS

헷갈릴 수 있는 게 어떤 사람은 SSL 인증서라고 부르고 어떤 사람은 TLS 인증서라고 부른다. 간혹 SSL/TLS 라고 붙여서 부르는 경우도 있긴하다. 결론부터 말하면 TLS 인증서가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