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3-Way Hankshake 과정 직접 확인하고 이해하기
네트워크 개념이라는 게 들을 땐 그런가보다 싶지만 막상 눈에 보이지는 않기 때문에 잘 와닿지 않는다.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선 직접 과정을 봐야 한다. 3306 포트에 바인딩 … 더 읽기
네트워크 개념이라는 게 들을 땐 그런가보다 싶지만 막상 눈에 보이지는 않기 때문에 잘 와닿지 않는다.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선 직접 과정을 봐야 한다. 3306 포트에 바인딩 … 더 읽기
하나의 장비에는 두 개 이상의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만약 서버 컴퓨터라고 치면 여러 도메인을 하나의 컴퓨터에서 운영할 수 있는 거다. 하나의 장비에 두 … 더 읽기
1. DR (재해 복구) DR(Disaster Recovery)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 따라 운영 서버가 다운 됐을 때 서비스를 복구하기 위해 준비해 두는 대응책을 의미한다. 언뜻 서버 이중화와 … 더 읽기
리눅스 firewalld는 기본적으로 ssh 서비스를 허용한다. 특정 ip에서만 ssh를 접속할 수 있게 하려면 ssh 포트에 특정 ip만 인바운드 연결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된다. rich-rule을 사용하면 … 더 읽기
일반적으로 포트 오픈 시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건 firewalld 서비스를 실행한 뒤에야 쓸 수 있다. 운영 중인 서버 장비에 뒤늦게 방화벽을 기동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