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와는 결이 좀 다른 ‘검색형’ AI 서비스를 발견했다. perplexity라는 서비스인데 알고보니 이미 이쪽에선 유명하고 올해 초에 엔비니아, 제프 베조스한테 1000억원 가까이 투자도 받았다고 한다.
계정 없이도 써볼 수 있어서 한번 써봤는데 구글링의 AI 판 서비스인거 같다. 검색 프롬프트가 있는 건 chatgpt랑 비슷한데 답변 형태가 다르다.

그냥 구글링하듯이 키워드를 검색하면 된다. ‘2024년 여행지’를 쳐봤다.

출처랑 답변을 간결하게 달아준다. chatgpt랑 가장 크게 다른 점은 무조건 웹에 있는 출처를 기준으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내용에 대한 출처 링크를 옆에 남겨준다. 그래서 관심이 가는 출처를 눌러보고 원문을 볼 수 있다.
네이버 Cue: 가 제공하는 서비스랑 거의 같다. 두 개 비교도 좀 해보면 재밌을 거 같다.
또 하나 좋은 건 ‘관련’ 이라는 탭이 있는 건데 답변 내용과 관련해서 추가적으로 궁금할만한 것이나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질문을 몇 가지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같은 거다.
관련 질문을 계속 누르는 것만으로도 검색 주제에 대해 더 깊이 서칭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거 같다. 물론 추가 질문을 프롬프트로도 직접 할 수 있다.


최근 대만 여행에 관심이 좀 있는데 아시아 여행지로 대만을 언급하길래 추가로 ‘대만 여행 좋은점 ‘대만 여행 비용’ 같은 것들을 질문해봤는데 역시나 잘 답변해준다.


결론적으로 perplexity는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검색하고 출력되는 링크를 하나씩 들어가보면서 서칭하는 방식과 달리 검색 내용에 대한 대략적인 틀을 한눈에 요약해서 제시해주고 그 출처를 링크로 주는 방식이다.
ai가 내용의 질이 좋은 사이트를 잘 찾아서 제시해준다면 검색 시간을 많이 줄여줄 수 있을 거 같다.
아직 제대로 안 써봐서 실용도는 판단하지 못하겠는데 이참에 여름 휴가 관련 서칭을 이걸로 한번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용해보고 후기 남겨야겠다.